사진 / 이성복
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올라갈 때 아버지가 우겨서
딴 이름의 학교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
나는 친구들 보기 창피하다고 밥도 안 먹고 울었습니다
아버지가 원하시던 학교에 들어가 처음 교복 입고
노란 교표 달린 모자 쓰고 찍은 사진을
아버지는 늘 지갑 안에 넣고 다니셨습니다
점심값 아끼느라 떡이나 오뎅 사먹고
동대문에서 서대문까지 그 먼 퇴근길 걸어오시던
아버지는 그토록 내가 자랑스러웠던가 봅니다
시험 잘 보고 와도 칭찬 한번 안 하던 아버지,
뭘 좀 잘못하면 눈만 흘기시던 아버지,
정말 내가 크게 잘못한 날에는 자기 종아리 걷고
혁대 풀어, 나보고 때리라고만 하셨습니다
올여름 지나면 아버지 돌아가신 지 오 년,
언제까지 아버지가 내 사진을 지갑 속에
넣고 다니셨는지 모르지만, 지금 내 지갑에는
이십 년도 더 지난 우리 애들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
어느 봄 아파트 정원에서 둘째는 쪼그리고 앉아
깔깔 웃고, 첫째는 동생 목을 휘어 감고 있습니다
지금 그 아이들 군대 갔다 오고 대학 졸업하고
취직도 않고 빈둥거리지만, 나는 녀석들이 지갑 속에서처럼
언제까지나 자라지 않기를 바라는지 모릅니다
하루에도 몇 번씩 내가 그 애들을 보듯이
육십 년대 후반, 경리 일 그만두고 집에서 쉬는 동안
아버지는 이따금 내 사진을 들여다보셨겠지요
빳빳한 교복 칼라에 단정하게 모자 쓴 그 아이가
언젠가 그의 가난과 실직과 시들한 살림살이를
하루아침에 바꿔주길 바라셨겠지요
평생 울컥, 화내는 취미밖에 없었던 아버지,
돌아가시기 며칠 전에도 경로당 두루마리 휴지를
한 움큼 뜯어 오다 동네 노인들한테 창피당한 아버지였습니다
그리고 나는 냉동고 유리문 너머 입관하실 때도,
영정사진 모시고 산을 오를 때도
눈물 한 방울 안 흘린 독한 아들이었습니다
- 이성복 시집『래여애반다라』2013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2013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낸 첫 시집이 이성복의
시집입니다. 참고로 두번째는 황동규의 시집이었고요.
수필체의 언술로 인해 시가 맞긴 한 것이냐는
작은 얘깃거리가 있었던 시입니다.
장석주 시인은 추천사에서 “무엇을 써도 시가 되는
경지에 들어섰구나, 하는 느낌이다.
사물의 구체성은 명징하고, 묽은 슬픔과 괴로움은
갑자기 까칠해지고 날카로워진다.
그 명징과 묽음이 만나 아득한 생의 풍경을 이룬다"
라고 했습니다.
어쨌거나 나는 이 시를 읽으며 내 아버지와 아버지의
사진을 쉽사리 추억할 수 있었습니다.
앨범의 사각 사진 사이 미로를 따라가다 길을
잃었습니다. 과거와 과거의 과거를 넘실대다 아버지와
둘이서 찍은 흑백사진 한 장이 홍채 안으로 빨려
들어왔습니다.
이제 곧 아버지 가신지 25년, 얼핏 원 없이 자유롭게
사신듯하지만 생각하면 가련한 대목이 없지 않습니다.
평생 하급공무원으로도 너무나 거침없고 호방하게
사셨던, 나와는 코드고 스타일이고 무조건 달랐던
아버지.
당신은 그자식이 몹시 마음에 안 들어 걸핏하면
'머저리'라고 했고, 나는 그런 아버지가 미웠습니다.
한때 아마추어 사진작가랍시고 누드사진대회나
나가고, 필름 값의 추정액만으로 아버지를 비위공무원
쯤으로 의심하기도 했었지요.
내 사진을 지갑 안에다 넣어 다닌 걸 본 적은 없지만,
방실대는 손자 사진은 곱게 담아 다니셨지요.
그 아이들이 서른을 훌쩍 넘기고 가끔 보기 싫어지는
이즈음에서야 문득 혈연의 윤회와 업이 두렵기
시작합니다.
/ 권순진 시인
'좋은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편지 / 허연 (0) | 2019.08.01 |
---|---|
사진 / 이성복 (0) | 2019.07.27 |
호랑가시나무의 기억 / 이성복 (0) | 2019.07.03 |
편지 / 이성복 (0) | 2019.07.03 |
치욕에 대하여 / 이성복 (0) | 2019.07.03 |